본문 바로가기

금융 공부 (신용/카드/상식)

신용평점? 신용등급?


신용평 VS  신용등급

 

 

신용평점: 개인신용평가시스템 (CSS)에 의해서 산출되는 개인의 신용도 측정치

 

신용등급: 신용평점에 따라 10개의 등급으로 나눈것

 

 

 

이제 둘의 차이를 어느정도 감잡으셨나요?

그럼 이번에는  신용평점과 신용등급을 산출하는 방법 을 알아볼까요?

 

개인신용평가시스템은 완전자동화된 시스템 도 있고 심사를 진행하는 전문가들이 평가표를 작성 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작업으로 처리를 하는 시스템까지 방법에 따라 다양한 쳬계가 존재를 합니다.

 

하지만 기관에 따라 개인을 점수매기고 등급을 나눈다는 사실은 공통적이구요. 대게는 평가기준이나 방법등이 공개되지 않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그럼 오늘은 코리아크레딧뷰로(이하 KCB)개인신용평가체계 공시 를 살펴보고자합니다.

 

 

개인신용평점은 각 개인에 대한 수많은 신용정보를 종합하여, 향후 1년내 90일 이상 장기연체 등이 발생할 가능성(=위험도)을 통계적 방법에 의해 1~1,000점으로 점수화한 것이며, 각 점수는 상대적인 위험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점수가 낮을수록 리스크가 높다는 의미입니다.

 

개인신용평점은 개인의 신용을 바탕으로 한 의사결정이 필요한 경우, 참고지표로 활용되도록 하기 위해 산출하고 있습니다.


※ 금융회사가 개인과 신용거래를 설정하거나 유지하고자 할 때, 개인신용평점을 참고하는 것이 대표적 사례입니다.


※ 코리아크레딧뷰로(이하 KCB)와 같은 신용평가회사(Credit Bureau)가 제공하는 개인신용평점(CB Score)이 있다면, 각 금융회사에는 업무목적에 따라 개발•활용하는 내부 신용평점시스템(Credit Scoring System : CSS)이 있습니다.


대출승인/신용카드발급, 한도/금리 결정 등 각종 금융거래 의사결정은 이러한 CSS를 기준으로 주로 이루어지며, KCB 개인신용평점은 절대적 기준이 아니고 참고지표 중 하나로 활용됩니다.

 

 

 

[금융회사 내부 신용평점시스템(CSS) 소개]

 

 

 CB사 신용평점은 전국민(전체 신용거래인구)을 대상으로 신용위험을 평가하는 척도인데 비해, 금융회사 내부 신용평점은 해당 금융회사 거래고객을 대상으로 신용위험을 예측하는 신용평점입니다. 금융회사 내부 신용평점에는 금융회사가 자체 보유하고 있는 내부 거래정보와 고객이 금융회사에 제공한 정보가 주로 반영되고, CB사 신용정보도 일부 사용됩니다.
 각종 신용거래의 승인여부, 대출한도, 금리 등은 금융기관 내부 신용평점과 개인이 제공한 소득/직장정보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신청평점(Application Score): 신용거래를 신청한 고객을 대상으로 한 신용평점으로, 대출 승인여부나 신용카드 발급여부와 같은 신규 거래 개설의 의사결정에 활용됩니다.
행동평점(Behavior Score): 금융기관과 현재 거래 중인 고객을 대상으로 일정시점마다 향후 부실 가능성을 다시 평가하는 신용평점으로, 대출 연장여부나 금리 변경, 신용카드 한도 상향 여부 등 결정에 활용됩니다.

 


주요 평가부문

 

 

개인신용평점은 현재와 과거의 신용거래이력 정보를 활용하여 산출되며, 평가 활용 정보는 특징에 따라 상환이력정보, 현재부채수준, 신용거래기간, 신용형태정보, 신용조회정보의 다섯 부문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KCB는 전국은행연합회 및 제휴 금융회사(KCB 회원사) 등을 통해 고객의 사전 동의주)에 따라 수집된 개인 신용정보를 금융회사에 제공하고 신용평가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신용정보법) 제32조에 의거한 고객의 사전 제공•활용 동의 필요

 

 

 

 

고객에게 불이익을 줄 수 있는 오래된 신용정보는 신용정보법 제18조 제2항 및 감독규정 제19조에 따라 기록 보존 및 신용평가 활용 기간을 정하고 있습니다.
※ 미국의 경우 파산, 압류 등 법원판결정보는 10년, 연체, 추심, 공공기록 등 채무불이
행 정보는 7년간 신용평가에 활용 가능

 

 

 

조금은 어려운 내용으로 이루어진 듯보이지만 각종 객관화 된 지표에 따라 기준이 된 개인의 신용점수가 산출이 되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본인의 신용점수를 직접 산출하기는 어렵겠지만 어느 항목이 비중있게 다루어지는지를 알았으니 나의신용을 지키기 위해, 혹은 나의신용등급을 좀더 올려보기 위해 노력을 하시려는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은 정보일듯합니다.